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주식 초보 탈출하기'라는 글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저도 공부할 겸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많이 부족하더라도 가볍게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Q. 주식회사란?
A. 자본금을 투자받아서, 주식으로 발행하여 운영하는 회사
Q. 주식이란?
A. 주식회사에 돈을 투자하면 증명해주는 증서
Q. 액면가와 발행가의 차이
A. 주식회사가 설립될 때 한 주당 가격을 '액면가' 라고한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주구너에 적힌 가격을 말한다. 액면가에 발행된 주식의 수를 곱하면 초기 자본금이 된다.
ex) 액면가 5,000원에 1만 주를 발행했다면 초기 자본금은 5,000만 원이 된다.
'발행가'는 주식을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상장할 때의 가격이다. 기업 가치가 높아졌다면 한 주당 가격이 액면가보다 높아질 것이다. 물론 낮아질 수도 있다. 따라서 주식의 액면가와 발행가는 다르며, 보통 발행가가 액면가보다 높다.
액면가는 요즘에는 거의 500원이다. (한국에는 6가지의 액면가가 있다. 100 원, 200 원, 500 원, 1000 원, 2500 원, 5000 원)
Q. 액면분할은 왜 할까?
A. 주가가 너무 높으면 일반투자자들이 선뜻 사기 힘들다. 원래 액면가 5,000원에서 500원으로 액면분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주식 수만 늘고 자본금은 늘거나 줄지 않는다. 어떤 주식을 100만원에 가지고 있었으면 10분의 1로 액면분할 하면 10만원으로 떨어진다. 그러면 사람들이 더 많이 살것이고, 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
결론은 주식을 좀 더 쉽게 사고 팔기 위해서 한다.
Q.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A. 보통주란 의결권과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는 주식이다. 주식은 대부분 보통주로 발행되고, 우선주보다 주가가 높다. 투자자 중에서는 의결권 같이 경영참여 권한을 원하지 않고 배당금을 더 받기를 원하는 사람도 있다. 이것이 우선주다.
결론 : 보통주 -> 의결권과 배당, 우선주 -> 의결권이 없지만 더 높은 배당
Q. 유상증자란 뭘까?
A. 주식을 신규로 더 발행해서 돈을 받고 팔아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이렇게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증자', 줄이는 것을 '감자' 라고 한다.
보통 투자자들은 유상증자를 부정적으로 본다. 왜냐하면 주식 수가 늘어나면 주가가 상승하기 더 힘들다. 특히 증자의 목적이 운영자금 조달인 경우 더 부정적으로 본다. 돈이 부족해서 유상증자를 한다는데 좋을 순 없다.
Q. 무상증자란 뭘까?
A.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이다. 기업의 여윳돈중 일부로 주식을 발행하고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주는 것이다. 그래서 주식 수가 늘더라도 자본금이 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 증권고래소는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에는 코스피시장, 코스닥시장이, 장외시장이 있음)
Q. 코스피지수는 중요하다.
A. 코스피지수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이며 '종합주가지수'라고도 불린다.
1980년 1월 4일을 기준으로 코스피시장 시가총액을 100으로 잡고, 코스피 시가총액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비교하여 산출한다. 예를들어 코스피지수가 1700 이면, 1980년 1월 4일보다 17배 상승했다라는 뜻이다.
시가총액에서 시가란 '시장가격'을 말한다.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에 상장된 모든 주식의 시가를 더한 것이다. 시가총액은 주식시장 전체 규모와 흐름을 파악하는데 필요하다.
코스피지수를 왜 알고있어야 하나?
전체 시장의 동향을 가장 잘 나타낸다. 시장 분위기가 좋으면 덩달아 오르고, 나쁘면 같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려면 전체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
Q. 코스닥 지수
A. 우량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은 코스피시장에 상장하기에는 제약조건이 많기 때문에 나온 것이 코스닥시장이다.
코스피 시장보다 주가가 대체로 낮다. 리스크도 크고 등락도 심해 변동성이 크다.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별개의 지수이므로 내가 관심가는 종목이 어느 시장에 속하는지 반드시 체크하자.
Q.코스피 200지수
A. 코스피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 중에서 우량종목 200개를 기준으로 만든 지수이다. 선물, 옵션 등 주가지수를 기초로 하는 파생상품의 기준이 되고, 인덱스펀드의 벤치마크 지수이다.
인덱스펀드는 하나의 주식시장 전체에 투자하려는 목적으로, 특정 목표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ex) 코스피200 기준 인덱스펀드는 그 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 만큼의 수익률을 올리게 설계되었다.
벤치마크란 펀드의 수익률을 비교하는 기준 수익률을 뜻한다.
Q. KRX300지수
A. 코스피 코스닥 종목을 합쳐 총 305개 종목으로 구성되었다. 코스피200지수가 코스닥시장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었다. 양대 주식시장의 흐름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Q. 세계 대표 주가지수
① 다우지수 :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지수이며,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최우량기업 30개의 주가지수이다. 미국 시장의 전체 흐름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② S&P 500 지수 : 다우지수와 함께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주 주가지수이다.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500개의 주가지수
③ 나스닥지수 : 미국 나스닥 주식시장에 상장된 5,000개 이상의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의 주가지수
④ 상해주가지수 : 중국 상해증권거래소의 주가지수
⑤ 홍콘항셍지수 :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50개의 주가지수
⑥ 니케이225지수 :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225개의 주가지수
'주식 초보 탈출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초보 탈출하기(3),[경제성장률, 금리와 주가, 나에게 맞는 주식투자방법] (0) | 2020.04.13 |
---|---|
주식 초보 탈출하기(2) (0) | 2020.04.11 |